제목
(정책 2017-06) 국민연금기금의 기준포트폴리오 설정 방안
작성부서
등록일
조회수
1440
작성자
박태영, 원상희
연락처
063-713-6778
내용

목 차Contents

요 약 1

I. 서 론 9

1. 연구배경과 목적 9

2. 연구의 범위 10

II. 기준포트폴리오의 정의 11

1. 정의 및 도입 필요성 11

2. 기존 문헌 16

III. 기준포트폴리오 설정의 전제 조건과 설정 프로세스 25

1. 기준포트폴리오 설정의 전제 조건 25

2. 기준포트폴리오 설정 프로세스 32

IV. 해외 사례 35

1. 캐나다 CPPIB 사례 36

2. 스웨덴 AP 사례 51

3. 일본 GPIF 사례 59

4. 뉴질랜드 Superannuation Fund 사례 71

V. 시나리오 분석 79

1. 기본 가정 80

2. 분석 결과 87

VI. 결론 및 시사점 95

부록 99

1. 일본 GPIF의 기본포트폴리오 검증결과에 대하여 99

2. 기본포트폴리오의 검증 101

참고문헌 107

표 차 례

 

<-1> 재정계산에서의 목표수익률 논의 경과 15

<-2> 해외 연기금의 목표수익률 비교 16

<-1> 자산군별 정책벤치마크 30

<-1> 해외 연기금의 기준포트폴리오 요약 비교 36

<-2> 경제 관련 가정 41

<-3> 자산 배분(Asset Mix) 43

<-4> 과거 인플레이션 및 자산별 실질수익률 44

<-5> 자산별 실질수익률(운용비용 공제 전) 46

<-6> 운용비용 차감 후의 운용수익률 47

<-7> CPP 자산의 연간 수익률 48

<-8> AP4의 주요 비율(기말 기준) 52

<-9> AP1~AP4 목표 수익률 55

<-10> 노말 포트폴리오의 구성과 수익률 기여도 58

<-11> 실질장기금리와 수익률의 상관관계 62

<-12> 미래의 수익률에 따른 실질 장기금리 수준 63

<-13> 기본포트폴리오의 구성과 괴리허용폭 65

<-14> 기본포트폴리오 66

<-15> 2004년 재정재계산에 있어서 경제 전제 67

<-16> 1기 중기계획에 있어서 기본포트폴리오 68

<-17> 기본포트폴리오와 2015년 말의 자산구성 비중 70

<-18> 기준포트폴리오 배분 변화 73

<-19> 벤치마크 지수의 바람직한 특성 75

<-20> 벤치마크 지수 76

<-21> 2015년 기준포트폴리오 현황 76

<-1> ALM 모수 및 제 가정 83

<-2> 자산군 기대수익률 산출 체계 84

<-3> 변동성 산출체계 85

<-4> 경제변수 비교 실질경제성장률 85

<-5> 경제변수 비교 물가상승률 85

<-6> 경제변수 비교 명목기준금리 86

<-7> Global Insight 주요 거시경제 전망치 86

<-8> 향후 5년 포트폴리오의 개별 자산군별 기대수익률 및 위험 88

<-9> 향후 25년 포트폴리오의 개별 자산군별 기대수익률 및 위험 88

<-10> 5년 포트폴리오의 통계적 특성 90

<-11> 25년 포트폴리오의 통계적 특성 90

<-12> 주요 경제변수들과 자산수익률 간의 상관관계 91

<-13> 2060년 적립배율 2배 달성을 위한 필요수익률 조합 92

<-14> 2060년 적립금소득배율 2배 달성을 위한 필요수익률 조합 92

<-15> 포트폴리오별 장기(2060) 연평균 기대수익률 93

<부록 표1> 1기 중기계획에 있어서 기본포트폴리오 102

<부록 표2> (참고) 책정 시 102

<부록 표3> 각 자산의 표준편차와 상관계수 103

<부록 표4> (참고) 책정 시 103

<부록 표5> 기본포트폴리오의 속성 104

<부록 표6> (참고) 책정 시 104

<부록 표7> 예정 적립금액을 하회할 확률 105

그 림 차 례

 

[그림 -1] 국민연금의 연도별 총수입에서 투자수입의 비중 27

[그림 -2] 3차 국민연금 재정계산에 따른 적립금 추계 28

[그림 -3] 국민연금 실현수익률과 추계상 가정수익률의 비교 32

[그림 -1] CPP 기금규모의 과거와 추계(2009-2040) 39

[그림 -2] 기준포트폴리오수익-위험 스펙트럼 상의 변화 50

[그림 -3] AP의 운용 구조 53

[그림 -4] 노말 포트폴리오(Normal Portfolio)(40) 57

[그림 -5] 실질장기금리와 수익률의 추이 61

[그림 -6] 효율적 프론티어와 분산효과에 따른 추가수익률 64

[그림 -7] 2010 기준포트폴리오의 예상치 대비 성과 73

[그림 -8] 2010 기준포트폴리오의 예상치 대비 성과 74

[그림 -1] ALM 분석 모형 81

[그림 -2] ALM 분석에서 주식 배당 프리미엄 86

[그림 -3] 자산군별 수익률 추이 87

 

첨부
정책 2017-06 국민연금기금의 기준포트폴리오 설정 방안.pdf
목록
다음글
(정책 2017-10) 확률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국민연금 ALM에 관한 연구-Ⅰ
이전글
(정책 2017-05) 국민연금 해외투자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